상세정보
미리보기
고전의 바다에서 지혜를 낚는 법
- 저자
- 이한우 저
- 출판사
- 샘터
- 출판일
- 2021-07-21
- 등록일
- 2021-12-24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14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다음 세대에 전하고 싶은 한 가지는 무엇입니까?”다음 세대가 묻다“어렵기만 한 고전을 왜 공부해야 할까요?”이한우가 답하다“고전은 단순히 머리만을 채워주는 데 그치지 않고 마음을 길러줍니다.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동서양의 고전들을 섭렵해 간다면여러분의 인생은 참으로 풍요로울 것입니다.”각계 명사에게 ‘다음 세대에 꼭 전하고 싶은 한 가지’가 무엇인지 묻고 그 답을 담는 인문교양 시리즈 ‘아우름’의 마흔아홉 번째 주제는 ‘고전에서 지혜를 얻는 법’이다.고전은 관심이 있더라도 선뜻 손이 가지 않는다.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한자에 익숙지 않은 세대에게 동양 고전은 어려움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왜 고전을 공부해야 할까? 이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저자는 고전을 읽어야 하는 당위나 필요성, 억지스러운 즐거움을 전하는 대신 자신이 고전을 향해 나아간 20여 년에 걸친 악전고투 방황기를 들려준다. 뒤늦게 동양 고전이라는 바다에 뛰어들어 길을 잃기도 하고 잘못된 목적지로 가기도 했지만, 그것은 인생에서 몇 안 되는 훌륭한 결정이었다고 저자는 자부한다.이 책에서 저자는 《조선왕조실록》, 《논어》, 《대학연의》, 《한서》, 《주역》 등을 공부하고 번역하며 겪어야 했던 어려움과 뜻하지 않은 즐거움을 생생하게 전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선입관과 편견을 깨뜨리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또한 강조한다. 이 책에서 배울 수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가르침은 새로운 것에 끊임없이 도전하고 살아온 저자의 삶의 방식이다. 저자는 독자들에게 무조건 동양 고전의 세계에 뛰어들라고 말하지 않는다. 각자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고 궁금한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그것에 자신을 던지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성장해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새로운 세상에 주저하지 않고 뛰어들 수 있는 용기를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및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전공은 독일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의 해석학이다. 뉴스위크 한국판과 문화일보를 거쳐 1994년부터 조선일보에서 기자로 활동했다. 문화부 기자로 오랫동안 학술과 출판을 담당했으며 2002~2003년에는 논설위원, 2014~2015년에는 문화부장을 역임했다.
2001년까지는 주로 영어권과 독일어권의 역사·사회철학 책을 번역했고, 이후 《조선왕조실록》을 탐독하며 6권짜리 《이한우의 군주열전》을 비롯해 조선사를 조명한 책을 썼다. 2012년부터는 《논어로 논어를 풀다》 등 동양 사상의 고전을 규명하고 번역하는 일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2016년 2월 조선일보를 그만두고 논어등반학교를 만들어 《논어》, 진덕수의 리더십 텍스트 《대학연의》, 최근에는 《주역》을 현대적 감각으로 풀어서 대중 강의를 하고 있다. 일관된 관심사는 리더십이다. 반고의 역사서 《한서》(전10권)를 국내 최초로 완역했고 《이한우의 주역》(전3권)을 냈으며 《이한우의 태종실록》도 18권 완간을 목표로 지속적으로 출간하고 있다.
목차
여는 글서양 고전 공부에서 동양 고전 공부를 넘어동양 고전 번역으로 간 까닭은1장. 번역은 나의 운명일본어식 엉터리 번역이 거의 절반대학원에서 하이데거를 공부하며 오역과 싸우다뜻하지 않은 경험이 넓혀준 번역의 지평내가 생각하는 번역이란?번역의 즐거움2장. 모든 한국인의 고전, 《조선왕조실록》의 바다에 뛰어들다독일 연수에서 받은 충격, 기본으로 돌아가라!실록 읽기의 어려움과 보람새로운 관점의 획득 - 세종을 보는 눈실록에서 새로운 목표 《대학연의》를 찾아내다3장. 《논어》, 가벼운 트레킹이 아니라 암벽 등반하듯 올라야 하는 책《논어》 공부에 지표가 된 호암 선생의 한마디모든 책은 시작과 끝을 알아야 한다공자의 텍스트를 읽는 비법, 형이상중하《논어》에 이어 《중용》, 《대학》을 풀고 《맹자》를 읽다4장. 내가 생각하는 고전 읽기와 고전 번역동서양 고전 목록을 다시 만들 것을 제안한다잘 읽히려면 좋은 번역이 있어야 한다5장. 제왕학 《대학연의》와 문장론 《문장정종》을 번역하다5년의 한문 공부와 6개월간의 번역으로 탄생한 《대학연의》진덕수의 글에 빠져 《심경부주》를 번역하다원고지 2만 2,000장 분량의 《문장정종》 번역에 나서다《문장정종》에서 배운 좋은 글 쓰는 법6장. 고대 한나라 역사서 《한서》 번역에 도전하다《한서》 번역을 위해 언론사를 떠나다《한서》에서 《논어》를 다시 만나다《한서》와 《실록》을 양 축으로 《논어》에 살을 더하다7장. 마침내 유학의 최고봉 《주역》에 오르다일을 매개로 《논어》와 《주역》의 관계를 간파하다《논어》에서 《주역》으로 가는 길, 상도에서 권도로양녕을 폐하고 충녕을 세운 논리 택현론이 곧 권도마침내 《주역》 봉에 오르다# 어렵기만 한 고전을 왜 공부해야 할까요?닫는 글도전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