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만복사저포기
미리보기

만복사저포기

저자
김시습 저
출판사
OLIN
출판일
2014-08-05
등록일
2016-11-14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6MB
공급사
YES24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 작품 소개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는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 소설집인 <금오신화(金鰲神話)>에 수록된 다섯 편의 단편소설 중의 한 작품으로, 지금으로부터 약 540여 년 전에 작가가 한문으로 쓴 사회 비판 소설이다.

소설 제목으로 일컬어지는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라는 한자어 제목을 한글로 번역하면 <만복사 저포놀이> 또는 <만복사에서 부처와 저포놀이를 하다>로 풀이되는데, 저포놀이는 백제시대 때부터 전래되어온 오늘날의 윷놀이와 유사한 윷가락 투척놀이다.

이 소설은 남원의 떠돌이 노총각 양생(梁生)이 만복사(萬福寺)에서 부처님과 저포놀이를 하여 이기자 소원이었던 배필을 만나 신성시 되는 법당 근처의 아주 비좁은 간이 판자 방에서 여인과 함께 운우지정을 나누는 충격적인 사건으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떠돌이 노총각이 부처님이 소개해주는 여인과 지금으로부터 약 540여 년 전인 조선시대 전기에, 그것도 신성시 되는 법당 앞 행랑 끄트머리 비좁은 판자방에서 처음 만나는 날 바로 운우지정까지 나누며 서로가 장래를 약속하는 모습은 지금도 믿어지지 않을 만큼 파격적이고 소름 돋을 만한 사건이다.

이 작품 속 남녀 주인공들은 술도 먹지 않은 맨 정신인데도 첫눈에 반해 마을까지 내려갈 생각도 없이 바로 만복사 행랑채 끄트머리 판자방에서 손잡고, 입 맞추고, 서로를 껴안고 쓰다듬다가 끝내는 운우지정까지 나누고 만다. 소설 속 광경을 상상하면 너무나 시대를 초월한 과속이고, 이 소설을 끝까지 읽지 않고는 도무지 작가의 창작 의도를 알 수 없을 만큼 충격적이면서 괴이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알고 본즉 그녀는 어느 거실우족(巨室右族)의 죽은 딸이 현신한 영혼이었고, 남자 주인공과 3일을 함께 보낸 뒤 여자는 저승의 명을 거역할 수 없다며 사라진다……. 이후 양생은 꿈같은 시간을 함께 보낸 그 여인을 그리워하며 지리산에서 약초를 캐며 살아가다 소식이 끊어졌다는 것이 이 소설의 끝 장면이다.

그렇다면 매월당 김시습 선생은 지금으로부터 540여 년 전에 무슨 마음으로 이런 괴이한 소재로 <만복사저포기>란 소설을 섰을까? 우선 작가의 작품 창작 의도부터 한 번 살펴보자.

금오신화에 수록되어 있는 다섯 편의 소설을 모두 다 읽고 나면 이 다섯 편의 소설을 관통하는 <공통 키워드>가 <절의(節義)>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 소설집에서 <절의(節義)>는 소설 속 주인공들이 만나는 상대자와의 약속과 그 약속을 진정으로 지키려는 마음 즉, 신념을 굽히지 않는 꿋꿋한 태도와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말한다.

여기서 이 소설을 다시 한 번 살펴보자. 주인공 양생은 사람을 배필로 맞은 것도 아니고 귀신을 배필로 맺은 것인데, 상대가 귀신임에도 불구하고 양생은 이 여자에 대한 절의를 지키다 부지소종(不知所終) 된다. 그러나 그 누구도 알지 못하고, 그 누구도 그가 늙어서 자연사했거나 병들어 죽은 것을 보지 못했을지라도 그가 귀신이 아닌 이상은 “지리산 어딘가에서, 그것도 아니라면 지리산에서 얼마 떨어진 그 어느 곳에서 아마 죽었을 것이다.”라는 상상은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이 이야기는 얼핏 보면 뭔가 굉장히 어이없고 황당한 이야기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이 소설의 주인공 양생은 귀신에 대한 절의도 지키는 판국에, 세조가 왕위를 찬탈했는데도 단종에 대한 절의를 지키지 않고 세조 옆에 붙어 호의호식하는 당대 집권층 사대부들은 “도대체 뭐하는 족속들이냐?” 하는 의식으로 이 소설을 읽다보면 <만복사저포기>란 단편소설은 모든 게 새롭게 보일 것이고, 그것이 바로 작가 김시습이 이 작품을 창작한 의도라는 것을 우리는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문학사적 의미로는 이 소설이 우리나라 최초 또는 두번째 한문소설집인 <금오신화>에 수록되어 있는 다섯 편의 단편소설 중의 한 작품으로, 구우가 지은 전등신화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이 소설이 창작될 당시의 조선시대 정치적 현실과 주요한 사안이 그려지고 있다는 점, 우의적으로 당대의 정치 사회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는 점에서 작가의 독창성이 드러나는 작품이다. 거기다 시와 대화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작가의 특질이 잘 나타나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도 나타나지만, 작가 김시습은 인귀교환설화(人鬼交歡說話)와 명혼설화(冥婚說話), 또 시애설화(屍愛說話) 등을 즐겨 다루는 작가인데 이 소설에서도 죽은 사람의 혼백이 현실에 나타나서 이승의 사람과 교류하는 내용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점은 시애설화의 전형에서 훨씬 승화된 것으로 문학적 의미를 둘 수 있다. ●

▣ 작가 소개


미수 허목(許穆) 선생이 쓴 청사열전(淸士列傳)에 “김시습(金時習)은 본디 창해(滄海, 지금의 강릉) 사람이다. 태어난 지 8개월에 글을 읽을 줄 알았으며, 5세에 <대학(大學)>ㆍ<중용(中庸)>을 환히 읽어 어른도 그를 스승으로 삼았다. 집현전(集賢殿) 학사 최치운(崔致雲)이 그를 보고 ‘뛰어난 인재이다.’ 하면서 이름을 시습(時習), 자를 열경(悅卿)이라고 지어 주었다. 세종이 이 소문을 듣고 불러 보고자 하였으나 임금의 신분상 그럴 수 없어서 승정원을 시켜 불러다 보고 그의 집에 많은 하사품을 내리면서, ‘잘 키워라. 크게 쓰일 것이다.’ 하였다. 이리하여 사방에서는 그를 ‘오세동자(五歲童子)’라 부르고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라고 한다.

이처럼 유년시절부터 문명을 떨치며 성장한 김시습은 1435년(세종 17) 한양 성균관 북쪽, 그러니까 현재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에서 아버지 김일성(日省)과 어머니 울진 선사장씨(仙槎張氏) 슬하에서 태어났다.

그의 선대는 신라 태종무열왕의 후손으로서 국왕으로 추대되었으나 즉위하지 못하고 명주(溟州·강릉) 군왕(郡王)으로 봉함 받았던 김주원(金周元)이었다. 할아버지 김겸간(謙侃)은 오위부장을 지낸 무반이었고, 아버지 김일성(日省)은 선대의 음서(蔭敍)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낸 사대부가의 후손이었으나 그가 태어날 무렵 가정환경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니었다.

그는 3살 때부터 외조부로부터 글자를 배우기 시작해 <정속(正俗)>, <유학자설(幼學字說)>, <소학(小學)>을 배운 후 5세 때 이미 시를 지을 줄 알아 그가 신동(神童)이라는 소문이 당시의 국왕인 세종에게까지 알려졌다는 내용이 어숙권(魚叔權)이 지은 <패관잡기(稗官雜記)>에도 전해지고 있다.

이 외에도 그의 생애를 알려주는 자료로는 <매월당집>에 전하는 <상류양양진정서(上柳襄陽陳情書)>, <윤춘년(尹春年)의 전기(傳記)>, <율곡 이이(李珥)의 전기>, <음애 이자(李耔)의 서문(序文)>, <장릉지(莊陵誌)> · <해동명신록> · <연려실기술> 등이 있는데, 그는 5세 때(1439년) 이웃집에 살고 있던 예문관 수찬(修撰) 이계전(李季甸)으로부터 <중용>과 <대학>을 배웠고, 그 후 13세 때(1447년)까지 이웃집의 성균관 대사성 김반(金泮)에게서 <맹자> · <시경> · <서경>을 배웠고, 겸사성 윤상(尹祥)에게서는 <주역>과 <예기>를 배웠으며, 그 밖의 여러 역사책과 제자백가는 스스로 읽어서 공부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작가 김시습의 생애> 편을 참조하기 바람). ●


▣ 편역자 소개


서동익(徐東翼)
소설가. 서동익은 1948년 경북 안강(安康)에서 태어나 향리에서 성장기를 보내다 1968년 해군에 지원 입대해 7년간 현역으로 복무했다. 만기 전역 후, 6·25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 후 남북 관계와 북한 동포들의 삶을 연구해 오다 1997년 국가정보대학원을 수료했다.

1976년 중편소설 <갱(坑)>으로 제11회 세대신인문학상을 수상하고 등단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한 <한국현대소설문학의 반쪽현상>과 <왜소성>을 발견, 이를 극복하는 장편소설을 집필하다 북한 동포들의 일상적 라이프스타일과 생활용어 속의 정치용어, 경제용어, 은어 등에 막혀 실패했다. 이후 직장을 대북전문기관인 자유의 소리방송(전문집필위원), 통일부(학술용역), 국방일보(객원논설위원), 인천남동신보(주간 겸 논설위원), 사)북방문제연구소(연구이사 겸 부소장) 등에서 근무하며 30여 년간 북한을 연구해 왔다.

주요 북한연구저서로는 <북에서 사는 모습(북한연구소, 1987)>, <인민이 사는 모습 1, 2권(자료원, 1996)>, <남북한 맞춤법 통일을 위한 사회주의헌법 문장 연구(사단법인 북방문제연구소, 2007)>, <남북한 맞춤법 통일을 위한 조선로동당 규약 문장 연구(북방문제연구소, 2007)> 외 다수 논문이 있다.

문학창작집으로는 서동익 소설집 <갱(坑, 자료원, 1996)>, 장편소설집 <하늘 강냉이 1∼2권(자료원, 2000)>, <청해당의 아침(자료원, 2001)>, <퇴함 1∼2권(메세나, 2003)>, <장군의 여자 1∼2권(메세나, 2010)> 등이 있으며, 장편소설 <청해당의 아침>이 1960년대 한국의 문화원형과 전후세대의 삶을 밀도 있게 묘사한 작품으로 선정되어 2010년 6월 1일부터 한 달간 KBS 라디오 드라마극장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어 국내는 KBS AM 972khz로, 국외는 KBS 한민족방송망을 타고 중국 동북3성 ․ 러시아 연해주 ․ 사할린 ․ 일본 ․ 미국 등지로 방송된 바 있다.

고소설 편역작품집으로는 강도몽유록(OLIN, 2013), 달천몽유록, 원생몽유록, 안빙몽유록, 수성궁몽유록, 피생명몽록, 금오신화(OLIN, 2014) 등이 있다.

그동안의 창작활동으로 <제8회 인천문학상(1996)>, <남동구민상(1996)>, <인천광역시문화상(2004)>, <남동예술인상(2011)> 등을 수상했으며 <해군을 빛낸 인물>로 선정되기도 했다.

연관도서 연관도서를 소개해드립니다!
함께 대출한 도서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