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는 결정으로 말한다
좋은 리더는 없다.
하지만, 좋은 리더를 만드는 ‘좋은 결정’은 반드시 있다!
리더십 전문가, 현업 팀장, 코치, 컨설턴트 등
9명의 전문가(나인팀 3기)가 이야기하는 결정 리더십!
기업에서 리더의 결정은 실로 막강한 힘을 가진다. 구성원과 팀이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이끌고, 기업의 흥망성쇠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결정은 결단코 쉽지 않다. 그 묵직한 책임감으로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없는 딜레마에 빠지게 될 때도 있고, 자칫 잘못하면 조직을 위기에 빠트리게 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더라면 좋은 결정을 위한 여정을 시작해야 한다.
9명의 리더십 전문가는 결정을 앞두고 스스로에게 5가지 질문을 던져보라고 말한다. 결정의 원칙과 기준이 있는지, 잘못된 결정 습관이 있는지, 심리적 오류를 경계하고 있는지, 구성원이 결정 과정에 충분히 참여하고 있는지, 결정을 실행에 옮기고 있는지 묻고, 그에 대한 답을 내리다 보면 어느새 좋은 결정을 할 수 있는 혜안이 생길 것이다.
저자들은 더 나은 결정을 도와줄 ‘NICE 결정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인식하고, 검토하고, 선택하고, 실행하는 4단계의 프로세스는 당신의 결정을 더 나은 쪽으로 이끌어 줄 것이다. 또한, 현업 리더들이 가장 많이 고민하는 결정 상황을 NICE 결정 프로세스에 대입시켜 최적의 솔루션을 찾아보았다.
자, 이제 당신의 ‘결정’만이 남았다.
Noah, 프랙티스디자인랩 대표, 리더십 퍼실리테이터& 리더십 프랙티스 디자이너. 성공커뮤니케이션 대표이사, (주)SC컨설팅 대표이사, (주)임팩트그룹코리아 HRD사업본부장을 역임했으며, 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인사조직MBA)를 마쳤다. 현재 리더들이 변화에 대한 동기를 갖고 실제적인 성과행동을 개발할 수 있도록 컨설턴트와 강의, 그룹 코칭을 하고 있다.
PROLOGUE 모든 것은 리더의 결정에서 시작된다
PART 1 리더의 결정
CHAPTER 1 리더의 결정이 중요한 이유
리더에게 결정의 의미란
리더가 갖는 결정의 무게
좋은 결정의 정의
CHAPTER 2 리더의 결정이 어려운 이유
리더의 딜레마 상황
리더의 결정에 대한 책임
PART 2 더 나은 결정을 위한 5가지 질문
CHAPTER 1 결정의 원칙과 기준이 있는가?
고객의 가치를 높이는 원칙과 기준
협업을 만들어 내는 원칙과 기준
업무가치를 높일 수 있는 원칙과 기준
CHAPTER 2 버려야 할 결정 습관이 있는가?
많은 리더들이 자신의 과거 경험에 너무 의존한다.
많은 리더들이 결단력이 없고, 결과에 대해 책임지려 하지 않는다.
많은 리더들이 외부의 자극에 둔감하고 감정적으로 반응한다.
CHAPTER 3 심리적 오류를 경계하고 있는가?
확증 편향과 허위 합의 효과
자기과신과 낙관주의
결과로만 판단하려는 편향된 믿음
CHAPTER 4 구성원이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가?
심리적 안전감(Psychology Safety)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
취약성(Vulnerability)의 고리
CHAPTER 5 실행을 통해 결정을 완성해 가고 있는가?
리더는 결정의 타이밍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
리더는 결정에 대한 구성원의 참여와 지지를 이끌어 내야 한다.
리더는 결정이 좋은 결과로 매듭지어 질 때까지 돌봐야 한다.
PART 3 나인팀이 제안하는 NICE 결정 프로세스
CHAPTER 1 1단계: Notice 인식하기
문제 인식: 결정해야 하는 상황임을 인식한다
정보 수집: 결정 이슈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
CHAPTER 2 2단계: Investigate 검토하기
정보 분석: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고 방향을 설정한다
니즈 확인: 이해관계자의 입장과 니즈를 확인한다
CHAPTER 3 3단계: Choose 선택하기
옵션 도출: 결정 사항에 대하여 다양한 선택지를 도출한다
기준 확정: 결정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확정한다
결정 공유: 결정사항을 공유하고 공감대를 형성한다
CHAPTER 4 4단계: Execute 실행하기
계획 수립: 실행 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한다
실행 점검: 결정된 안을 실행하면서 모니터링을 통해 점검해 나간다
시스템화: 결정 및 실행 사항에 대한 성과를 분석하고 시스템화한다
PART 4 리더들의 어려운 결정 상황
Case 1. 결정을 하지 않으려는 상사와 의사결정을 해야 할 때
Case 2. 결정이 필요한 사안인지 확인이 필요할 때
Case 3. 급박한 상황에서 제한된 정보로 결정해야 할 때
Case 4. 상사들간 의사결정 의견이 다를 때
Case 5. 이해당사자가 많은 현안을 해결해야 할 때
Case 6. 이익이 상충하는 상황에서 다양한 선택지가 필요할 때
Case 7. 업무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
Case 8. 구성원의 인사이동에 개입하는 결정을 할 때
Case 9. 결정된 사항을 번복해야 할 때
팀장들의 현실적인 이슈와 의사결정
[정리하며] 리더는 결정으로 말한다
BONUS BOOK 어느 날, 선물같이 찾아온 내 인생의 '결정'
EPILOGUE 당신의 결정은 언제나 옳다.
부록 NICE 의사결정 프로세스 Tools
김호준(James),이동호(Steve),배건우(Terry),서수한(Su),강철호(Chiro),서인수(Noah),이흥주(Chris),김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