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바꿀 용기
“지금의 나를 만든 사람은 그 누구도 아닌 바로 나다”
‘나를 바꾸는 용기’를 심어 주는 아들러 심리학의 7가지 지혜
이 책은 용기와 희망을 주창한 심리학자 아들러의 가르침에서 시작해 ‘용기부여’로 확장한 현대 아들러 심리학의 실천편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에게 용기를 심어 주는 방법을 다룬 이 책에는 저자가 32년간 직접 실천하면서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에게서 눈에 보이는 확실한 성과를 얻은 이야기가 담겨 있다. 저자는 이것을 크게 7가지 지혜로 나누어서 소개한다. 현재 곤경에 처해서 어찌해야 할지 잘 모를 때, 아무런 이유 없이 우울할 때, 무슨 일을 해도 나만 잘 안 되는 것 같을 때 자신에게 용기를 부여하는 실마리들을 책 속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매일의 기분에 좌우되지 말자
우리는 자주 감정이나 분위기에 좌우된다. 날씨가 흐려서, 잠을 잘 못자서, 직장 동료나 가족이 기분이 좋지 않아서 등 둘러대는 이유도 다양하다. 비관주의는 이런 감정, 분위기에서 생겨난다. 아무런 근거가 없는데도 매번 이렇다며 우울해한다든지, 자꾸 안 좋은 일이 생긴다든지, 뭘 해도 나는 안 된다든지 하면서 자꾸 나쁜 쪽으로만 생각이 흘러간다. 그렇다면 이런 흐름은 어떻게 해야 끊을 수 있을까?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의지의 힘’이다. 부정적인 물결에 휩쓸리는 순간 ‘에잇’ 하면서 몸에 힘을 주고는 힘차게 밖으로 뛰쳐나와야 한다. 저자는 자신의 감정에 별명을 붙이는 방법도 추천한다. 자격지심이 밀려들 때마다 ‘실격이 등장’, ‘실격이 폭발’이라는 식으로 말이다. 감정에 별명을 붙이면 자신 안에서 일어나는 감정은 물론, 상대방 감정까지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자신의 감정을 스스로 통제한다면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삶에서 일어나는 일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안 되는 것에만 주목하면 안 되는 것만 끌어당긴다
인간은 긍정적(낙관적)인 부분보다는 부정적(비관적)인 부분에 더 끌린다. 계속해서 실패하거나 실의에 빠지면 ‘시야협착’에 빠져서 모든 것을 안 되는 쪽으로만 생각한다. 그리고 더 과장해서 현실을 바라본다. 누가 강요한 것도 아닌데 자신을 비극의 주인공으로 만든다. 그런데 이런 사고방식을 당신에게 누가 억지로 강요한 것인가? 그렇지 않다. 어느 누구도 아닌 자신이 선택한 사고방식이다. 우리는 매일 끊임없이 선택을 강요당하며 산다. 이제껏 낙관주의와 비관주의 갈림길에서 무의식중에 비관주의를 선택하면서 살아왔다. 비관주의를 선택하면 언제나 핑계를 댈 수 있고, 쉽게 포기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 낙관주의를 선택하는 것은 많은 ‘용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 ‘용기’에는 커다란 결심이 뒤따른다. 습관적으로 비관주의를 선택하려고 할 때마다 주문처럼 이렇게 외쳐 보자. “낙관주의는 의지!”
이렇게 외치기만 해도 당신은 이미 낙관주의로 한 걸음을 내딛은 셈이다.
되고 싶은 모습으로 ‘단언 - 단상 - 단행’할 것
저자는 용기를 심어 주는 힘을 기를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단언(斷言) - 단상(斷想) - 단행(斷行)’을 추천한다. 먼저 자신을 향해 나는 이런 사람(자신이 되고 싶은 모습, 살고 싶은 모습의 사람)이라고 선언한다(단언). 다음으로 그렇게 된 자신을 상상한다(단상). 마지막으로 당신은 이미 그런 사람이 되었으니 그에 알맞게 행동한다(단행). 예를 들어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부드럽게 자기주장을 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하자. 그렇다면 자신을 향해 나는 ‘부드럽게 자기주장을 하는 사람이다’라고 선언한 후, 부드럽게 주장하는 당신의 의견을 상대방이 웃으면서 받아들이는 장면을 상상한다. 그러면 당신은 부드럽게 자기주장을 하는 사람인 양 자기 행동을 바꾸어 나간다. 이때 주의할 점이 있는데, ‘하지만……’은 잠시 접어 두는 것이다. 자신이 되고 싶은 모습, 살고 싶은 모습을 구체적으로 떠올릴수록 의식은 그것에 가까워지고, 현실화될 가능성은 높아진다.
무한 작심삼일이 나를 바꾼다
당신에게는 어떤 버릇이 있는가? 다리떨기, 손톱 깨물기, 머리카락 만지기 등 1~2개 정도는 누구나 있을 것이다. 대다수가 이런 버릇이나 습관을 언제부터, 어떤 계기로 시작했는지 잘 모른다. 이처럼 우리에게는 무의식적으로 하는 버릇이 아주 많은데, 이것을 바꾸려고 하면 왠지 모를 저항감이 생긴다. 원래대로 익숙한 버릇이나 습관으로 되돌아가고 싶은 마음을 떨쳐 내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새로운 방식이나 습관을 익힐 때는 익숙한 행동을 자각적으로 멈추어야 하는데, 이때는 용기와 인내심이 더욱 필요하다. 일단 무조건 시작하자. 그리고 3일간 쭉 계속하자. 이 ‘3일’만 뛰어넘으면 자신감이 붙어 그다음 장벽인 ‘3개월’은 수월하게 뛰어넘을 수 있다. 포기하지 말고 3일간만 해 보자. 그리고 3일간 쉬고 3일간 하고, 다시 3일간 쉬고 3일간 하는 행동을 반복하다 보면 1년간 180일이나 계속할 수 있다. 그러면 새롭게 변화된 자신과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내 삶의 주인공이다
우리는 흔히 ‘상대방이 이렇게 말해서 참을 수가 없었어’라든지 ‘나는 부모 때문에 이렇게 되었다’든지 하며 쉽게 남 탓을 한다. 현재 자기 사정이 좋지 않은 것은 다 남 탓이며, 자신은 희생자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정말 남의 탓일까?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나를 만든 것은 바로 나, 나를 바꾸는 것도 바로 나’라고 주장한다. 내 삶의 주인공은 바로 나라는 것이다. 물론 우리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는 존재다. 그렇더라도 지금 내 모습은 결국 내가 만든 것이다. ‘내’가 아닌 ‘남’ 탓만 하면 내 삶임에도 나란 존재는 들러리밖에 될 수 없다. 누구도 한 번밖에 없는 자기 인생에서 들러리로만 존재하고 싶지는 않을 것이다. 나라는 삶의 드라마이니 ‘내’가 주인공이어야 하지 않을까? 자신을 주인공으로 생각하면 다른 사람이 하는 말에 영향을 받거나 지배를 받는 듯한 느낌이 들 때 현명하게 대처해 나갈 수 있다. 처음에는 두려움이 앞설 것이다. 하지만 계속 이대로 있으면 당신은 ‘남’에게 휘둘리면서 들러리로만 살아갈 수밖에 없다. 그러니 용기를 내야 한다. 자꾸 움츠러드는 자신에게 용기를 심어 줄 수 있어야 한다. 당신을 바꿀 힘은 그 누구도 아닌 당신 자신에게서 나온다. ‘용기’를 내자. 나를 바꾸는 것은 바로 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