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셉마음: 정신건강 간호편
학교에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지만, 임상에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생기는 간극을 줄이기 위해서는 간호사가 ‘알고 있는 것을 실제로 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 방향이 반영된 임상 실무 지침서에 대해 고민하던 중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 한 권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을 완전히 마스터할 수는 없겠지만, 정신건강의학과 병동에서의 실무를 이해하고 적응하는 시간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Part 1 정신건강의학과 기초 다지기
1. MSE(정신건강의학과 환자 파악하는 비법)
1) MSE란?
2) 우선 항목
3) 일반 항목
2. 입원 유형(정신건강의학과 입원 이해하기)
1) 자의 입원
2) 동의 입원
3) 보호 입원
4) 행정 입원
5) 응급 입원
6) 입퇴원 간호
3. 병동 생활 관리(정신건강의학과는 병동 생활이 다르다고요?)
1) 정신건강의학과 병동의 차이점
2) 면회 관리
3) 외출 및 외박 관리
4) 전화 관리
5) 산책 및 간식 관리
6) 반입 물품 관리
7) 치료 요법
4. 진단검사(정신건강의학과의 진단검사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Part 2 정신건강의학과 간호 유형
1. 투약을 위한 간호(약 복용을 거부할 수 있다고요?)
1) 정신건강의학과 약물
2) 투약 거부
3) 약물 투약 여부 모니터링
4) 정신건강의학과 약물 부작용 간호
2. 자해·타해 시 간호(정신건강의학과의 응급 상황 대처법)
1) 자해 환자
2) 타해 환자
3. 격리 및 강박을 위한 간호(어떨 때 격리 및 강박을 해야 할까요?)
1) 처치 전: 격리 및 강박이 필요한 상황과 판단 조건
2) 처치 중: 격리 및 강박을 시행할 때 할 일
3) 처치 후: 격리 및 강박을 시행한 후에 해야 할 간호
4. 자가간호를 위한 간호(혼자서 일상생활이 어렵다면?)
5. 수면을 위한 간호(잠을 못 잘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Part 3 Case로 배우는 질환별 간호
1. 조현병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환청 및 망상이 있다면?)
2. 기분장애(기분이 너무 좋거나 우울하다면?)
1) 조울증
2) 우울장애
3. 불안장애(가슴이 콩닥콩닥하며 너무 불안하다면?)
4. 식이장애(식사를 하기가 너무 힘들다면?)
5. 물질 관련 장애(중독,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다!)
6. 수면장애(잠을 못 자는 것도 병이라고?)
7. 치매(치매 환자에게 있을 수 있는 진짜 문제는?)"
박미란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