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 보건의사소통과 관련한 다양한 이론을 소개하며, 효과적으로 건강에 관한 소통을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사례를 제시한다. 소통은 상대방의 입장에 대한 이해와 상대방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는 운동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선택을 하도록 요구받는 사람이 되기도 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선택을 하도록 설득하는 사람이 되기도 한다. 때로는 환자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가 되기도 한다. 또한 누군가는 의료 전문가로서 환자를 마주할 수도 있다. 책의 내용을 습득하면서 위에 언급한 입장을 가정하면 보건의사소통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1~3장에서는 보건의사소통 및 건강행태에 대한 개념을 다루고, 4장과 5장에서는 의사소통 모형과 과정에 대해서 다룬다. 그 후부터는 의사소통이 일어나는 장(setting)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6장은 의료 현장에서 환자-의료 공급자 간 의사소통, 7장은 병원과 같은 보건 의료 조직에서의 의사소통, 8장은 환자-보호자 간 의사소통을 다룬다. 9장은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 캠페인을 다룬다. 10장에서는 매스 미디어를 중심으로 보건의사소통의 상황을 다루며, 11장에서는 신기술 확산과 함께 새로운 환경에서의 보건의사소통 상황을 다룬다. 12장에서는 건강정보에 대한 이해를 돕고, 13장에서는 건강 정보 이해력(헬스 리터러시, health literacy)을 소개한다. 14장에서는 위험 정보를 교환하고 인식하는 위험 커뮤니케이션을 다룬다. 마지막 15장에서는 보건의사소통이 일어나는 다차원적 접근으로서의 생태학적 관점을 소개한다.
목차
제1장 보건의사소통의 이해
1.1 보건의사소통의 중요성
1.2 보건의사소통의 정의
1.3 보건의사소통의 목표
1.4 보건의사소통의 역사
1.5 보건의사소통의 특징
제2장 의사소통과 건강
2.1 건강의 의미
2.2 건강 증진과 보건의사소통
2.3 건강 행동의 결정 요인
제3장 건강 행태의 이해
3.1 개 요
3.2 건강 행태 이론: 개인 수준
3.3 건강 행태 이론: 대인 관계 수준
3.4 건강 행태 이론: 지역 사회 수준
제4장 의사소통 모형
4.1 보건의사소통 접근법
4.2 의사소통의 구성 요소
4.3 의사소통 모형
4.4 보건의사소통 단계
제5장 의사소통 구성 요소와 장애
5.1 개 요
5.2 정보원
5.3 메시지
5.4 채 널
5.5 수용자
5.6 의사소통 장애
제6장 환자-의료 공급자 간 의사소통
6.1 배 경
6.2 환자 대상 의사소통의 특징
6.3 의사소통 체계
6.4 전 망
제7장 보건 의료 조직 의사소통
7.1 시스템으로서의 보건 의료 조직
7.2 보건 의료 조직의 유형
7.3 보건 의료 조직 내 의사소통
7.4 전문가 간 보건의사소통
7.5 조직 갈등의 개념
7.6 조직 갈등 해결
제8장 환자-보호자 간 의사소통
8.1 보호자의 역할: 사회적 지지
8.2 보호자의 역할: 돌봄
제9장 건강 캠페인
9.1 보건의사소통과 건강 캠페인
9.2 건강 캠페인 목표
9.3 건강 캠페인 시행 과정
9.4 건강 캠페인 평가
9.5 건강 캠페인 사례
제10장 매스 미디어와 보건의사소통
10.1 개 요
10.2 매스 미디어의 이론
10.3 건강과 관련된 매스 미디어의 기능
10.4 매스 미디어의 건강 영향 사례
제11장 신기술과 보건의사소통
11.1 전통적 미디어와 뉴 미디어 비교
11.2 뉴 미디어 노출과 반응
11.3 인터넷과 건강 정보
11.4 신기술을 통한 보건의사소통
제12장 건강 정보의 이해
12.1 정보와 건강
12.2 공중 보건 정보학
12.3 의료 정보학
12.4 건강 정보
12.5 정보 처리 과정
12.6 윤리적 이슈
제13장 헬스 리터러시
13.1 헬스 리터러시의 정의
13.2 헬스 리터러시의 발전
13.3 헬스 리터러시의 건강에 대한 영향
13.4 헬스 리터러시의 측정
13.5 헬스 리터러시를 고려한 임상 지침
제14장 위험 커뮤니케이션
14.1 위험과 위험 인식
14.2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발전
14.3 위험 커뮤니케이션 이론
14.4 위험 커뮤니케이션 원칙
14.5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제15장 보건의사소통의 생태학적 관점
15.1 개 요
15.2 건강 결정의 생태학적 관점
15.3 진료실에서의 보건의사소통
15.4 지역에서의 보건의사소통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