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언어 교육과정 개발
- 저자
- Jack C. Richards
- 출판사
- 한국문화사
- 출판일
- 2015-03-15
- 등록일
- 2021-01-13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16MB
- 공급사
- 교보문고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
언어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를 말한다!
교사들은 언어 코스를 계획하고, 교수 자료를 준비하고, 수업하는 데 매우 많은 힘을 들인다. 이러한 활동의 기저에는 어떤 교육적 원리가 있는가? 이 원리들은 어떤 가치를 반영하는가? 또 누구의 이익을 충족시키는가? 우리가 사용한 원리들을 살피고 그 원리로부터 결과적으로 얻은 실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교육적 실제가 향상될 수 있는가?
『언어 교육과정 개발』의 목적은 이러한 검토와 재고의 과정을 위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 교육과정 개발 접근법을 조사하고, 개발 과정에서 일어나는 문제점을 다루기 위한 방법을 검토하며 언어 프로그램 및 언어 교수 자료를 평가한다. 언어 교육과정 개발은 다음의 질문들을 다루며 이 질문들은 이 책의 틀을 제공한다."
저자소개
"
저자 : 잭 리처드
역자 : 강승혜
역자 강승혜는
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주임교수
전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전임
역자 : 공민정
역자 공민정은
현 가천대학교 국제교류처 한국어교육센터 강사
전 대만 원동과기대학교 한국어 강사
역자 : 김정은
역자 김정은은
현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강사
전 홍익대학교 국제언어교육원 한국어교육부 강사
"
목차
"역자 서문 / v
저자 서문 / viii
1. 언어 교육과정 개발의 기원 The origins of language curriculum development
1.1 역사적 배경 Historical background2
1.2 어휘 선정 Vocabulary selection5
1.3 문법 선정과 등급화 Grammar selection and gradation10
1.4 초기 교수요목 설계 접근법의 가정Assumptions underlying early approaches to syllabus design16
1.5 토론 질문 및 활동 18
참고문헌26
2. 교수요목 설계부터 교육과정 개발까지From syllabus design to curriculum development
2.1 새 방법론에 대한 탐색 The quest for new methods29
2.2 유럽에서의 외국어에 대한 요구의 변화 Changing needs for foreign language in Europe31
2.3 특수 목적을 위한 영어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33
2.4 ESP에서의 요구 분석 Needs analysis in ESP38
2.5 의사소통적 언어 교수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42
2.6 언어 교수에서 교육과정 접근의 출현Emergence of a curriculum approach in language teaching45
2.7 토론 질문 및 활동50
참고문헌55
3. 요구 분석 Needs Analysis
3.1 요구 분석의 목적 The purposes of needs analysis59
3.2 요구란 무엇인가 What are needs62
3.3 요구 분석 사용자 The users of needs analysis63
3.4 대상 모집단 The target population65
3.5 요구 분석의 시행 Administering the needs analysis66
3.6 요구 분석의 방법 Procedures for conducting needs analysis67
3.7 요구 분석의 설계 Designing the needs analysis71
3.8 수집된 정보의 활용 Making use of the information obtained72
3.9 토론 질문 및 활동76
참고문헌100
4. 상황 분석 Situation Analysis
4.1 사회적 요인 Societal factors105
4.2 프로젝트 요인 Project factors108
4.3 기관 요인 Institutional factors110
4.4 교사 요인 Teacher factors112
4.5 학습자 요인 Learner factors115
4.6 채택 요인 Adoption factors118
4.7 상황 분석에서 밝혀진 요인 정리Profiling the factors identified in the situation analysis120
4.8 토론 질문 및 활동121
참고문헌125
5. 목적 설정과 학습 결과 Planning goals and learning outcomes
5.1 교육과정 이데올로기 The ideology of the curriculum128
5.2 교육과정 결과 진술 Stating curriculum outcomes135
5.3 비언어적 결과와 과정 목표 Nonlanguage outcomes and process objectives150
5.4 토론 질문 및 활동155
참고문헌162
6. 코스 계획과 교수요목 설계 Course planning and syllabus design
6.1 코스의 이론적 근거 The course rationale166
6.2 입문 단계와 최종 단계의 기술 Describing the entry and exit level168
6.3 코스 내용 선정 Choosing course content169
6.4 범위와 배열 결정 Determining the scope and sequence171
6.5 코스 구조 계획 Planning the course structure174
6.6 범위와 배열 계획 Preparing the scope and sequence plan192
6.7 토론 질문 및 활동192
참고문헌222
7. 효과적인 교수 제공 Providing for effective teaching
7.1 교육기관 The institution224
7.2 교사 The teachers235
7.3 교수 과정 The teaching process242
7.4 학습 과정 The learning process251
7.5 토론 질문 및 활동254
참고문헌280
8 수업 자료의 역할과 설계 The role and design of instructional materials
8.1 실제 자료와 창작 자료 Authentic versus created materials 283
8.2 교재 Textbooks285
8.3 교재 평가 Evaluating textbooks287
8.4 교재 개작 Adapting textbooks292
8.5 프로그램을 위한 교수 자료 준비 Preparing materials for a program293
8.6 자료 집필 프로젝트 관리 Managing a materials writing project300
8.7 자료 사용에 대한 검토 Monitering the use of materials303
8.8 토론 질문 및 활동304
참고문헌319
9. 평가에 대한 접근 Approaches to evaluation
9.1 평가의 목적 Purposes of Evaluation323
9.2 프로그램 평가의 쟁점 Issues in program evaluation330
9.3 평가 시행 절차 Procedures used in conducting evaluations336
9.4 토론 질문 및 활동342
참고문헌347
찾아보기 /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