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언어적으로 한계가 있고 집중력이 짧은 유아의 발달특성상 관찰은 유아의 발달과 행동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를 객관적으로 관찰하기 위해서는 전문적 지식과 기법이 필요하다. 이 교재는 영유아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으로서 관찰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관찰을 활용한 행동연구의 유형과 연구논문의 작성 및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활용방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교재를 통해 영유아의 발달과 행동연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육 현장에서의 관찰이 바르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제1장 관찰의 이해
1.1 관찰의 의의 및 목적
1.2 관찰의 접근방법
1.3 관찰의 절차
1.4 관찰에서의 오류
1.5 관찰에서의 신뢰도와 타당도
제2장 아동관찰과 행동연구
2.1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이해
2.2 아동행동관찰 연구의 윤리적 문제
제3장 관찰의 유형(Ⅰ)
3.1 일화기록법
3.2 연속기록법(진행기록법)
3.3 표본식 기록법
3.4 서술식 사건표집법
제4장 관찰의 유형(Ⅱ)
4.1 빈도사건표집법
4.2 시간표집법
4.3 행동목록법
4.4 평정척도법
제5장 행동연구의 유형 및 절차
5.1 사례연구
5.2 조사연구
5.3 실험연구
5.4 연구논문의 작성
제6장 영유아발달과 검사
6.1 영유아발달의 이해
6.2 아동검사의 이해
6.3 아동검사의 종류
제7장 아동 문제행동 관찰
7.1 아동 문제행동 지도의 필요성 및 절차
7.2 아동 문제행동의 종류 및 관찰방법
제8장 포트폴리오 평가
8.1 포트폴리오 평가의 이해
8.2 포트폴리오 평가의 절차
제9장 현장 적용 및 실제
9.1 일과운영과 영유아관찰
9.2 흥미영역별 영유아관찰
9.3 교사평가를 위한 반성적 관찰
제10장 관찰을 이용한 학부모와의 소통
10.1 학부모면담의 이해
10.2 학부모면담 계획과 실행
10.3 학부모면담의 평가
이영애, 유준호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