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은 과목명 그대로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방법과 세부적인 기술을 다룬다. 사회복지학이 실천학문이라고 할 때 사회복지 실천기술은 사회복지학의 이상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개입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총 4부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관점 편이다. 여기에서는 사회복지실천기술론에 대한 기본 관점과 기초 기술을 설명하며, 잔여적 사회복지 실천과 제도적 사회복지 실천을 대별하고 그 특징을 다룬다. 그리고 사회복지 실천기술 일반을 이해하는 데 기초적인 기술을 논의한다. 제2부에서는 잔여적 사회복지의 실천과 기술을, 제3부에서는 제도적 사회복지의 실천과 기술을 다룬다. 각각에서 이론, 사정기술, 개입기술 그리고 유형별 사례분석을 다룬다. 따라서 제2부와 제3부를 비교하면서 공부한다면 양자의 특징을 좀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제4부는 두 실천과 실천기술을 비교하고 이것이 한국의 사회복지 실천과 그 기술에 주는 함의를 제시한다.
제1부 관점: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의 관점과 기초 이론
제1장 사회복지의 실천과 기술
제2장 상이한 사회복지 실천과 기술: 잔여적 사회복지 실천과 제도적 사회복지 실천
제3장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기초 기술: 증거기반 실천을 위한 조사, 평가, 기록
제4장 사회복지 실천의 단계와 주요 기술
제2부 잔여적 사회복지의 실천과 기술
제5장 잔여적 사회복지 실천기술의 이론적 기반
제6장 잔여적 사회복지 실천의 사정기술
제7장 잔여적 사회복지 실천의 개입기술
제8장 잔여적 사회복지 실천의 유형별 사례분석
제3부 제도적 사회복지의 실천과 기술
제9장 제도적 사회복지 실천기술의 개념과 이론
제10장 제도적 사회복지 실천기술의 사정기술과 목표
제11장 제도적 사회복지 실천의 개입기술
제12장 제도적 사회복지 실천기술의 실제
제4부 비교와 함의
제13장 비교와 사례분석
제14장 사회복지사: 사회적 위험에 맞서는 사람들
제15장 사회복지 실천기술과 한국의 사회복지
정연정, 유범상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