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로 보는 미국사
도시, 미국을 만들다
여덟 개의 도시로 지은 미국 역사의 빛과 그늘
이 책은 도시라는 창으로 본 미국사이다. 즉 미국 주요 도시의 역사를 통해 현대 미국의 역사와 사회를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필라델피아를 통해 세기말의 변화와 새로운 사회 문제를, 시카고를 통해 흑인 유입 문제를, 로스앤젤레스를 통해 아시아 이민과 도시 공간의 변화를, 애틀랜타를 통해 미국 남부의 발전과 흑백 갈등 및 분리 문제를, 세인트루이스를 통해 도시 문제와 도시 재생의 역사를, 앨카트래즈 섬을 통해 미국 원주민의 공간을, 워싱턴 DC를 통해 도시 계획과 기념 공간 조성을, 뉴욕을 통해 세계 무역과 금융의 중심지로서의 대도시 현황을 보여준다. 19세기 후반 이후 100여 년 동안 이 도시들이 국가 정체성 형성, 도시 정비와 재정비, 이주와 이민 문제, 경제 발전과 국토 개발, 인종·계급 갈등의 구조화, 도심 및 교외의 형성과 재개발 등에 어떻게 대응해왔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책이 그려내는 도시는 혁신과 투쟁의 공간이다. 도시는 시간과 더불어 끊임없이 변화하며, 미국의 역사는 도시의 역사와 맥을 같이한다. 미국의 도시는 미국의 변화를 주도하고, 미국의 중요한 문제들에 해결 방식을 제시하며, 주변 지역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곳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도시가 어떤 역사를 거쳐 형성되었는지, 그리고 각 도시의 역사와 미국이라는 국가의 역사가 어떻게 교차하는지를 통해 미국사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 책에서 다루는 여덟 도시는 도시 형성 시기나 발전 시기 등이 조금씩 다른 만큼, 각기 다른 시기의 각기 다른 특성을 드러낸다. 이 도시들은 미국 역사의 시기별 이슈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곳들로, 각 도시의 특성과 미국 국가사의 전개 과정을 동시에 펼쳐 보인다. 지역성과 전체 국가의 발전 과정을 동시에 살펴보는 이 책의 방식은, 광활한 영토와 지역별 차이로 인해 국가사 구성이 쉽지 않은 미국사 서술에 유효한 접근법이다. 또한 생동하는 혁신과 투쟁의 공간으로서의 도시에 대한 탐구는,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삶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함으로써 구체적이고 생생한 역사 읽기의 체험을 선사한다. 도시가 미국사를 바라보는 창이듯, 미국 도시사는 한국 사회와 한국 도시를 이해하는 유용한 창이 되어줄 것이다.
들어가며 : 미국 도시로의 초대
제1장 필라델피아 ― 독립 100주년과 새로운 세기
1. 필라델피아는 무엇을 먹고 사는가
2. 100주년 박람회
3. 박람회의 그림자
4. 박람회로부터 계획도시로
제2장 시카고 ― 흑인 대이동과 갈등
1. 시카고 발전사
2. 흑인 대이동 - 희망과 절망
3. 분리된 도시의 비애 - ‘정글’ 속 흑인
4. 그 여름, 뜨거웠던 시카고
제3장 로스앤젤레스 ― 자연의 정복과 다인종 사회
1. 사막의 낙원
2. 자동차 도시
3. 로스앤젤레스의 아시아계 이민
4. 재개발과 인종
제4장 애틀랜타 ― 백인의 도시 탈출과 쇼핑몰 교외
1. ‘미워할 짬이 없는 도시’의 민낯
2. 팽창과 분리
3. 새로운 도시, 쇼핑몰 교외
4. 남부 도시의 보수화
제5장 세인트루이스 ― 도심지 재개발의 악몽
1. 재개발 - 공동화의 대안
2. 프루잇-아이고의 짧은 일생
3. 하지 못한 이야기
4. 가지 못한 길
제6장 앨커트래즈 ― 그들만의 나라
1. 그날 앨커트래즈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나
2. 제거와 보호의 역사
3. 18개월의 해방구, 그 이후
4. 앨커트래즈는 지금
제7장 워싱턴 DC ― 기념 공간의 형성
1. 링컨 기념관에 선 두 흑인
2. 워싱턴의 건설
3. 국가적 기억과 기념의 공간
4. 추모의 공간으로
제8장 뉴욕 ― 젠트리피케이션의 최전선
1. 대도시의 운명
2. 젠트리피케이션과 로어이스트사이드 스토리
3. 임차 주민의 운명
4. 어떤 도시를 원하는가
책을 마치며 : 도시의 미래 - 젠트리피케이션 너머
주 / 찾아보기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