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사랑과 자유에 바치는 헌사, 인문학
'강신주의 인문학'을 만나본다
끊임없이 인문정신에 육박해 들어가는 우리 시대의 철학자, 강신주를 우리 시대의 인터뷰어 지승호가 만났다. 5주. 50시간. 풀어낸 초벌 원고 4,500매. 한 사람의 사유와 철학을 다루기에는 무척 짧은 시간과 양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자신의 생각을 날카롭고 명쾌하게 풀어내는 철학자에게서 쏟아진 이 시간과 양의 텍스트는 결코 만만치 않았다. 인문정신에서 시작한 이 인터뷰는 인터뷰이의 인문학적 계보를 찾다가 제자백가에 이르고, 다시 현대 한국 사회로 돌아와 우리 현실을 바라보다, 본연의 인문정신에 이르러 끝을 맺는다. 철학자 강신주의 촘촘하고 정교한 사유의 그물을 통과하고 나면, ‘나’와 ‘너’를 그리고 세상을 좀 더 뚜렷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인문학은 고유명사의 학문이라고 입을 열었다. 강신주의 인문학은 ‘강신주의 인문학’이어야 한다. 인문학의 주어는 ‘우리’가 아니라 ‘나’와 ‘너’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자신만의 ‘제스처’로 살아야 한다. 김수영이 그의 인문학의 원형일 수 있는 것도 자신만의 제스처로 살았던 시인이기 때문이다. 그의 시에 나오는 ‘팽이’처럼 타인에 의지하지 않고 우리 모두는 스스로 돌아야 한다. 이것이 자유이다. 자유는 삶의 주인이 자기 자신인 사람만이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유는 사랑과 닿아 있다. 사랑 역시 삶의 주인이 자기 자신인 사람만이 할 수 있다. 사랑과 자유는 우리에게 스스로의 주인이 되어 당당할 것을 요구한다.
이 시대 철학의 사명은 개인을 파편화시키고 사랑을 말려 죽이는 분업화와 전문화로 대변되는 신자유주의의 논리를 깨야 한다. 그리고 그 핵심에 바로 사랑과 자유가 있다. 이를 다르게 말한다면, 시가 읽히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가 읽히는 사회가 되어야 철학도 제대로 읽힐 수 있다. 이는 스스로 느끼고 생각해야 한다는 의미이자, 자신의 감정에서 ‘나다움’을 발견해야 한다는 뜻이다. 사랑과 자유의 인문정신으로 절정에서 버텨야 한다. 인문정신은 당당한 것이다.
저자소개
“인터뷰는 인터뷰이를 둘러싼 이미지를 만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만나는 것이다.”국내 유일의 전문 인터뷰어로 활동하면서 ‘인터뷰’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고 있는 '인터뷰어'. 그는 만나는 사람의 마음까지 투영시켜 보여주는 타인의 거울이다. 그래서 아직은 외롭고 슬프지만 세상에 당당히 맞서고자 한다.
1966년 부산 출생. 『인물과 사상』의 인터뷰를 맡고 있으며, 『인터넷 한겨레』의 하나리포터로 '10대도 사람이다', '민주당 국민경선' 특별취재 단장으로 활동하였다. 그리고 웹진 「시비걸기」의 마스터, 여성주간신문 『우먼타임즈』, 월간 『아웃사이더』, 『서프라이즈』의 '인터뷰 정치' 등을 맡았다.
인터뷰한 책으로는 『비판적 지성인은 무엇으로 사는가』『크라잉 넛, 그들이 대신 울부짖다』(공저)『사회를 바꾸는 아티스트』『마주치다 눈뜨다』『유시민을 만나다』『7인 7색』『감독, 열정을 말하다』『禁止를 금지하라』『하나의 대한민국, 두 개의 현실』『장하준, 한국경제 길을 말하다』『우석훈, 이제 무엇으로 희망을 말할 것인가』『신해철의 쾌변독설』『아! 대한민국, 저들의 공화국』『괜찮다, 다 괜찮다』『김수행, 자본론으로 한국경제를 말하다』『희망을 심다』『배우 신성일, 시대를 위로하다』『김상곤, 행복한 학교 유쾌한 교육 혁신을 말하다』등이 있다.
그의 책을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그의 인터뷰 대상은 전방위적이다. 『신해철의 쾌변독설』에서는 음악, 정치, 교육, 문화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들에 대한 전방위적인 신해철의 인생철학과 함께 그가 음악을 위해 얼마나 치열하게 살아왔으며, 음악에 대한 어떤 신념을 가지고 있는가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괜찮다, 다 괜찮다』에서는 베스트 셀러 작가, 인생파 작가, 평론가의 도움 없이도 글을 알아먹게 쓰는 작가 공지영과 독자들의 만남을 주선하였다. 또한 『아! 대한민국 저들의 공화국』에서는 2008년을 뜨겁게 달구었던 '촛불'이 한국사회에 지니는 의미를 파헤쳤고, 『김수행, 자본론으로 한국경제를 말하다』에서는 자본주의와 한국경제에 관한 김수행 교수의 심도있는 분석과 전망을 전달하였다.
『신성일, 시대를 위로하다』에서는 영화배우 신성일의 삶을 통해 한국 영화계 전반을 읽을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이처럼 그는 음악, 문학, 정치, 사회, 경제, 영화 등 전방위적인 분야를 파고들며, 독자들과의 가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그 밖에 『쉘 위 토크』에서 사회 각계각층의 8명의 인사들과 인터뷰를 통해 한국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 2년은 지독한 슬럼프였다. 일에, 사람에, 내 자신의 어리석음에 지쳤다. 어느 순간 나는 유령이 되어 있었다. 그즈음 강신주 선생을 만났다. ‘참다운 인문정신은 우리 삶에 메스를 들이대고, 우리의 상처를 치유하려고 한다’는 그의 얘기를 듣노라면 내 가면이 벗어지는 것 같아 부끄럽기도 했고, 고통에 직면하라는 얘기 탓에 아프기도 했다. 하지만 피하지 말자, 그냥 강신주를 믿고, 내가 진짜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야겠다.”
목차
프롤로그: 세상에 맨얼굴로 당당히 맞서기 위해_지승호
1장 인문정신은 당당하다
‘강신주’라는 고유명사 / 김수영과 인문정신 / 너나 잘하세요 / 인문학적 독서 / 인문학과 저항 / 철학을 종주하다 / 철학에 이르는 길 / 철학의 숲에서 김수영의 길로 / 경계를 허무는 철학 / 철학이 필요한 시간 / ‘현재’라는 텍스트 / 평론과 글쓰기 / 철학과 영화
2장 사랑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사랑과 기다림 / 사랑과 자유 / 잃어버린 열쇠 / 인간은 사랑의 존재 / 사랑하려면 신을 죽여라 / 이별을 각오하고 사랑하라 / 사랑은 ‘아까징끼’ / 어른이 된다는 것 / 혁명의 조건
3장 철학적 시 읽기와 김수영
‘김일성만세’라는 시금석 / 김수영의 정신, 인문학의 정신 / 스스로 도는 팽이 / 불온시 논쟁 / 김수영과 아버지, 박인환과 김춘수 / 절정에 서서 버티기 / 사랑과 폭력 / 긍지의 날 / 시와 철학 / 시인들 / 문학과 에로티시즘 / 시의 힘 / 보편적 공감의 구조 / 강신주를 위하여 / 강신주다운 글쓰기 / 시인과 철학자
4장 제자백가를 통하라
혁명가와 시인 / 움직이면 산이 아니다 / 동양의 정치철학과 ‘역린’ / 사람과 사람 사이의 길
5장 유가를 넘어서
유학의 패권 / 공자와 진시황 / 묵자와 양주 / 제자백가와 담론 지평의 확장 / 중국 담론과 위계 사회 / 사마천과 공자 / 억압과 야만의 시대 / 공자와 예법 / 공자의 인간적 면모 / 고전 독법과 대안 교육
6장 길은 내가 만들어야 한다
관중, 순자, 여불위 / 중국 철학 최초의 악플러, 맹자 / 공자의 모순 / 도는 걸어야 만들어진다 / 덕의 정치 / 포숙, 관중을 부리다 / 노자와 장자에 대한 오해 / 유교 자본주의와 조폭 문화
7장 철학, 한국 사회를 보다
정치, 인간과 노예 사이 / 마르크스에게 욕먹는 마이클 샌델 / 오감의 세계 vs 시각의 세계 / 신상 털기와 인민재판 / 다른 옷 입기, 같은 옷 입기 / 스티브 잡스와 이건희 / 망령의 귀환 / 신은 죽었다, 카르페 디엠 / 예수, 작두를 타다 / 스피노자와 동학 / 자본의 한계를 돌파하는 사랑 / 노무현과 진보의 증발 / 억압과 야만의 시대 / 사랑과 혁명이 필요한 시간
8장 자본주의에 맞서라
소유냐 사랑이냐 / 장기 기증인가 매매인가 / 괴물과 싸우다 괴물이 된다 / 하이퍼리얼리티 / 대중매체와 스펙터클 / 시각의 세계, 자본의 세계 / 민주주의는 데모의 정치 / 민주주의의 양 떼가 되다 / 자살에 이르는 길, 자기계발
9장 음악이 필요한 시간
편집자는 첫 독자 / 언어 이전의 고통과 대중적 글쓰기 / 자본과 책 사이의 인문학 출판 / 블로그와 책 / 내가 챙긴다 / 거리 두기 / 음악과 정신성 / 음악, 바벨탑 이전의 언어 / 피아노 소나타와 리듬 / 감정 수업 / 유리병 편지 / 고통의 폭과 〈에밀〉 / 글쓰기의 동력
10장 인간을 위하여
내가 욕망하는 것은 무엇인가 / 페르소나와 결혼 / 가면을 벗고 어린아이가 돼라 / 그리고 사랑과 자유
에필로그: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아름다웠다_강신주
인용 작품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