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IT 디스 이즈 잇
명상과 깨달음에 관한 필독서!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의 작가 에크하르트 톨레를 포함한
“비이원론 스승들”과의 인터뷰
온갖 명상의 방법론이 득세하고 방편의 명상만이 행해지는 이때에, 본질을 곧장 뚫고 가리켜 보이는 이 책이야말로 한국 불교뿐 아니라, 명상 및 영성계에 큰 자극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법상 스님
나와 같은 구도자들에게 구명 튜브와도 같았던 이 책의 재출간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 역자의 꼼꼼한 주석과 해설이 곳곳에 더해져 이전 판본보다 독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몽지 심성일
이 책은 역자의 부랑아 같았던 구도 인생 20년을 한방에 날려 버린 최악의 구도서이며 최고의 항복 각서이다.
-옮긴이 방기호
세상의 수많은 영성, 종교, 도판에서는 끊임없이 무언가를 열심히 갈고 닦도록 이끌면서 놀라운 깨달음을 주겠노라 광고한다. 그러나 당신은 모든 곳에 있고 당신이 바로 ‘이것’이다. 당신은 처음부터 이 진실에서 단 한 번도 벗어난 적이 없다. 이 책은 바로 그러한 진실을 놀라울 정도로 분명하게 드러내 준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부인 1, 2부는 구도와 깨달음에 대한 오해와 관념에 대한 저자의 입장이 에세이식으로 서술되어 있고, 후반부이자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3부는 토니 파슨스, 에크하르트 톨레 등 서구의 영적 스승들이라 불리는 11명의 영적 체험과 깨달음에 대한 오해, 구도자들이 영적 여정에서 빈번히 겪게 되는 혼란, 그리고 모순적으로 보이는 전일(全一)적인 관점에 대해 격의 없는 대화를 나눈다.
깨달음과 영성 관련 책은 대부분 개인적 성취를 다룬다. 도달해야 할 목표가 있고, 해결해야 할 수행 과제가 있다. 그러나 깨달음이란 영적 영웅담도, 신의 선택도, 수행 끝에 얻은 트로피도 아니다. 이 책은 항상 보고 있으며 작용 중인 ‘이것’으로 살고 있지만, 너무 가까워서 보이지 않는 ‘그것’에 관한 책이다. 이 책은 누구나 알고, 누구나 사용 중인 ‘그것!’을 드러낸다. 그러므로 이 책은 깨달음에 관한 책이 아니라 깨달음 금지에 관한 책이다.
현직 의사. 벨기에 앤트워프 의과대학에서 현대의학과 자연의학을 접목한 통증의학 M. D.
1986년 통증클리닉을 개원하여 현재까지 자연치료와 침술요법을 병용하여 진료해 오고 있으며, 종교적 배경 없는 영성 분야에 전념하며 관련 서적을 저술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This Is It』, 『Coming Home』, 『Nobody Home』이 있으며 최근 저작으로는 『Beyond』, 『The Myth of Self Enquiry』, 『Beingness』가 있다. 그 외 의학서적으로는 『The Clinical Guide of Biopuncture』, 『Management of Sports Injury』 등이 있다.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 여는 말
추천의 말
추천 서문
머리말
프롤로그
하나. 어디로 가는가
‘있음’
‘있음’을 향한 창문
비분법 스승들
일상 의식
둘. 그대로 두라
열림에서 제한으로
세 가지 믿음 체계
선과 악
과거와 미래
나와 타인
누가 선택하는가
백일몽
자아 탐구
갈 곳은 없다
아무도 제외되지 않는다
누가 그 길을 걷고 있는가
누가 깨달음을 바라는가
무경계
‘우리’를 찾을 수 있는가
도대체 누가 죽는가
오직 ‘하나’뿐
신은 어디에
누가 누구를 따르는가
위계는 없다
무엇을 더 바라는가
추구의 끝
삶은 계속된다
셋. ‘하나’의 본성에 관한 대담
‘하나’의 본성에 관한 대담
기한 없는 초대장_토니 파슨스와의 첫 번째 대담
당신은 내 얼굴의 공간_더글라스 하딩과의 대담
남성성과 여성성을 넘어서_토니 파슨스와의 두 번째 대담
나누는 기쁨_미라 파갈과의 대담
자명하게_네이선 길과의 대담
우주적 농담_척 힐릭과의 대담
신발 속에 돌이 없다_웨인 리쿼먼과의 대담
평화의 향기_프랑세즈 루실과의 대담
마음 없이 삶을 껴안아라_비자이 샹카르와의 대담
당신은 순수한 고요_마크 맥클로스키와의 대담
앎이 없는 그곳_에크하르트 톨레와의 대담
성스러운 손의 드러남_프랑세즈 루실과의 두 번째 대담
비추는 거울_U.G. 크리슈나무르티와의 대담
바로 이것_『아미고』誌 게스 슈뢰더와의 대담
있는 그대로_『왓킨스 리뷰』誌와의 대담
에필로그
옮긴이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