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수아비고(考)
‘허수아비’라고 하는 것은 농작물(農作物)에 해(害)를 주는 해조(害鳥)를 쫓기 위(爲)한 목적(目的)으로 제작(製作)하여 전답(田畓)에 세우는 가작물(假作物)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지리적(地理的)으로 한국만을 논술(論述)의 범위(範圍)로 한다. 허수아비를 발달(發達) 단계상(段階上)으로 보면 가장 오랜 형태는 종교적(宗敎的) 주술(呪術)인 목적이다. 『안산자고(案山子考)』(1935): 허수아비(ホスアヒ)考(案山子考)(송석하) 수록
*송석하(宋錫夏)(1904~1948) 호 석남(石南)
민속학자
경북 울주 출생
부산 공립 상업학교 졸업
일본의 동경상과대학 중퇴
조선 민속 학회 창립, 한국 민속 박물관을 설립
1933년 〈조선민속〉 학회지 창간
저서 〈한국 민속고〉, 〈허수아비의 변〉 외 다수 신문기고
1) 허수아비의 정의
2) 허수아비의 역할과 변천
3) 허수아비의 구성
결론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