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하 후유의 오키나와(류큐) 연구
이하 후유는 중학교 시절에 은사인 다지마 리사부로(田島利三郞)의 영향을 받아 ‘오모로’를 연구하기로 결심하고, 이후 일생을 오키나와학 연구에 바치게 된다. 그의 업적에 대해서는, 일본 제국주의에 동화되기를 강조한 입장에 대해 비판적인 평가를 내리는 쪽과 그와는 반대로 반골임을 주장하는 입장이 나뉘어 있다. 물론 순수하게 그의 연구 논고만을 중시하는 입장도 존재한다. 타협자와 반골의 얼굴은 이하 후유의 사상이 가진 양면적인 성격, 즉 일본과 동화하려는 논리와 오키나와의 독자성을 유지하려는 노력 사이의 모순에서 오는 해석인 것이다.
오키나와와 일본, 갈등과 조화
이하 후유는 일본 제국의 통합 과정을 오키나와학의 통합 논리의 모델로 삼고 있었다. 오키나와를 연구하는 것은 ‘오키나와 내부의 조화’와 ‘일본과 오키나와의 조화’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려는 것이었다. 이하 후유는 결과적으로 동조론으로 오키나와와 일본의 조화를 확보한 데다 오키나와의 개성을 주장하고 있었다. 즉 그는 오키나와인은 ‘류큐 민족’이라는 독자적인 민족이라고 부르짖고 있었던 것이다. 이하 후유의 오키나와 역사관은 일본과의 ‘동조’가 강조되는 한편, ‘류큐 민족’ 영광의 역사를 체현하는 방식이 반복되어 진화해 간 것이다.
이는 오키나와인은 ‘일본인’이어도 ‘일본인’과는 다르다는 것, 즉 ‘동조’를 강조하면서도 ‘류큐 민족’의 독자성을 부르짖는 것이었다. ‘동조’라는 틀을 새삼스럽게 다시 한 번 만들어 일본과의 조화를 확보함에 따라, 처음으로 그 틀 안에서 류큐 내셔널리즘을 고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서 ‘동조’는 오키나와의 개성을 보증하는 ‘아이콘’으로 기능했던 것이다.
저자소개
이하 후유(伊波普猷)
언어·문학·역사·민속학 등을 종합한 오키나와 연구, 즉 ‘오키나와학’의 창시자이며, 계몽 활동을 편 사상가이기도 하다. 나하(那覇)의 니시무라(西村)에서 아버지 후사이(普濟)와 어머니 마쓰루(マツル)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하 후유의 생애를 보면, 근대 오키나와가 격동의 시기를 맞이한 것과 중첩된다. 다시 말해서 이하 후유는 시대의 흐름과 연동하면서 자신의 학문과 사상을 ‘창출’했던 것이다.
1903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도쿄제국대학 문학과에 입학해 언어학 전공을 선택한다. 처음에는 역사학을 지망했지만, 언어학으로 방향을 돌린 것이다. 대학 동기로 하시모토 신키치(橋本進吉), 1년 후배로 긴다이치 교스케(金田一京助)가 있었다. 이 시기에 중학교 시절의 은사인 다지마 리사부로로부터 오모로(おもろ), 즉 아마미(奄美) 섬을 비롯해 오키나와 여러 섬에 전해지는 고가요(古歌謠)의 강의를 들었고, 류큐 연구 자료를 건네받았다고 한다. 그것이 인연이 되어 본격적으로 오키나와 연구에 몰입한다. ≪고류큐≫, ≪고류큐의 정치≫, ≪류큐의 다섯 위인(琉球の五偉人)≫, ≪교정 오모로사우시≫, ≪오키나와고≫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1947년 8월에 뇌출혈로 쓰러져, 히가 슌초(比嘉春潮)의 자택에서 신세를 지며 생애를 마감했다. 1973년 이하 후유의 업적을 기리고, 오키나와 연구를 진흥하기 위해 이하 후유 상(伊波普猷賞)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전성곤
2005년 3월 일본 오사카대학(大阪大學)에서 일본학을 전공하고,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사는 일본에서 ‘근대’가 ‘국민국가’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인류학’이라는 학문을 통해 들여다보는 것이다. 특히 조선과 오키나와에서 형성되는 ‘인류학’ 개념의 유사성과 차이성을 찾아내고, 중앙과 주변이라는 경계가 어떻게 담론화 되어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국민국가’의 해체와 동아시아 담론을 재구성하는 이론적 근거를 찾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일본 인류학과 동아시아≫(한국학술정보, 2009)가 있다. 역서로는 ≪성전의 아이코노그래피≫(제이앤씨, 2009), ≪근대 일본의 젠더 이데올로기≫(소명, 2009) 등이 있다.
목차
저자 서문
들어가면서
국사와 류큐사의 유사점
가와카미(河上) 박사의 사론
삼산(三山) 통일과 중앙집권
류큐의 정치적 통일
참근교대(參勤交代) 제도의 설정
중앙집권의 단행
슈리 왕부의 동화 정책
순사(殉死)를 금한다
류큐의 정신적 통일
민족적 종교의 선도자로서의 여자
신직의 계급
야에야마 섬 정벌과 기미하에(君南風)의 종군
노로의 세력
민족적 종교와 두 섬
조상을 중심으로 하는 공동생활
씨족신을 모시는 시부
민족적 종교의 사원 조직
중국인이 본 류큐의 종교
부인 승마의 풍습
민족적 종교의 쇠퇴와 정교의 분리
민족적 종교와 무격
정치상으로 본 무격의 세력
무격의 발호(跋扈)
류큐 부인과 미신
민간에서 유타의 세력
신지의 둔산(遁散)과 민족의 쇠망
류큐인의 해방
정치적 인민
결론-고대사가 주는 교훈
부록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