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金剛經] -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경[金剛經] - 금강반야바라밀경 * 금강경[金剛經] -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반야바라밀경》은 불교의 경전이다. 산스크리트어로 쓰인 것을 쿠마라지바(구마라습鳩摩羅什)가 한문으로 번역하였다. 조계종, 천태종의 소의 경전이다. 가장 널리 독송되고 있는 것은 구라마집의 「금강반야바라밀경」이다. 대승불교의 근본을 이루는 경전. 줄여서 『금강경』이라고 함. 『대반야경(大般若經)』 600권 중 제9회 『능단금강분(能斷金剛分)』의 별역(別譯)으로 부처님과 제자 수보리(須菩提)의 문답형식으로 되어 있다. 선종에서는 육조 혜능(慧能)이 이 경문을 듣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여 가장 중요시한다. 그럼에도 「금강경」은 구마라집이 처음 한역하여 소개한 이래, 중국과 우리나라, 일본에서 가장 많이 독송해온 경전 중의 하나로 중시되어왔고 삼론종, 법상종, 화엄종, 천태종 등의 교종은 물론 선종에서도 근본경전으로 여기고 있을 만큼 그 내용이 순수하고 깊고 밝다. <출처 및 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
9791130301303
판권 페이지
목차
제1장 법회인유분
제2장 선현기청분
제3장 대승정종분
제4장 묘행무주분
제5장 여리실견분
제6장 정신희유분
제7장 무득무설분
제8장 의법출생분
제9장 일상무상분
제10장 장엄정토분
제11장 무위복승분
제12장 존중정교분
제13장 여법수지분
제14장 이상적멸분
제15장 지경공덕분
제16장 능정업장분
제17장 구경무아분
제18장 일체동관분
제19장 법계통화분
제20장 이색이상분
제21장 비설소비분
제22장 무법가득분
제23장 정심행선분
제24장 복지무비분
제25장 화무소화분
제26장 법신비상분
제27장 무단무멸분
제28장 불수불탐분
제29장 위의적정분
제30장 일합이상분
제31장 지견불생분
제32장 응화비진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