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오늘 밤부터 우리의 시간은 철학과 함께 흐른다!
니체, 키르케고르, 쇼펜하우어, 들뢰즈…
생각하는 ‘불안한 존재’들을 위한 철학의 농밀한 위로
밤은 생각하기 가장 좋은 시간이다. 낮은 ‘타인’의 시선과 ‘밖’의 소리로 시끄러웠다면, 밤은 ‘자신’과 ‘안’의 소리에 귀 기울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밤에는 때때로 이유 모를 불안,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들, 늘 비슷한 고민들로 쉽게 잠이 오지 않는다.
『밤에 읽는 소심한 철학책』은 보통 사람들의 하루 끝에 가장 적합한 철학책이다. 니체가 말하는 ‘이미 도래한 미래’부터 라이프니츠의 인생 방정식,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데카르트가 의심한 ‘생각’의 실체, 들뢰즈의 노마드 철학, 베르그송의 원뿔 시간 모델까지… 책 속 그들의 철학은 우리 마음속 의문들에 대한 길을 탐색한다.
온전히 나만 남은 시간, 불안할 대로 불안해보는 시간, ‘타인’과 ‘저기’ 대신, ‘나’와 ‘여기’를 둘러보는 시간. 오늘 밤, 생각하는 ‘존재’들을 위한 철학의 농밀하고 다정한 위로를 펼쳐보자.
목차
프롤로그 잠 못 이루는 당신을 위한 철학의 위로
지난 일이 자꾸 떠오르는 밤
Part 1. 그 일은 우연이었을까, 필연이었을까
01 신이 정말 있다면, 나에게 왜 이러시는 거지?
스피노자, 신의 모순을 파헤치다│당신을 이 세상에 보낸 신의 ‘의지’
02 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어서 그렇게 된 거다
라이프니츠의 ‘모나드 이론’│선택에 따라 바뀌는 인생 그래프
03 내 운명이 뽑은 점괘는?
모든 철학의 승자, 《주역》│소신과 미신 사이
04 왜 하필 그 때, 거기서 그 일이 일어났을까
우연의 철학자, 베르그송│하이데거가 말하는 ‘존재와 시간’│우리 삶이 이토록 역동적인 이유
05 새털 같은 날들이 다 사라지고 오늘만 남는다면…
‘지금 여기’에 대한 깨달음│베르그송이 제시한 시간 모델
06 관성에서 자유로워지는 방법
현재진행형의 철학자, 알랭 바디우│들뢰즈의 ‘노마드 철학’
이유 없이 불안한 밤
Part 2. 내가 착각한 진실, 우리가 놓쳐버린 진리
07 난 누군가, 또 여긴 어딘가
데카르트의 ‘생각’│생각의 주체는 과연 내가 맞을까│내 머릿속에 자리한 악마
08 누구나 내가 나를 제일 모른다
언어는 사고를 지배한다│나를 가로막는 장애물│변화를 위해 가장 먼저 버려야 할 것
09 인간 저마다의 존재방식
수지와 아이유가 진짜 예쁜가?│과학의 인과에 칼을 댄 철학자│우연과 나누는 대화
10 시간이 남기고 가는 것들
계속 나쁜 남자에게 끌리는 이유│하이데거의 존재자 개념
11 365일 반복되는 어제
‘남들만큼’은 살고 싶은 욕망│레비나스의 ‘시간론’
마음이 공허한 밤
Part 3. 나의 무의식은 어떻게 생겼을까
12 내 마음인데 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헐크의 고백│무의식과 나누는 대화│의식을 보상하고 보완한다
13 이상한 나라의 에로스
에로티즘의 거장, 바타유│일곱 난쟁이가 일곱 명인 이유│오이디푸스 신화와 프로이트의 아이러니
14 인스타그램 속에만 존재하는 ‘다른 나’의 삶
소쉬르의 구조언어학│상상과 상징 그리고 실재│SNS와 잠만경의 원리
15 우리는 꿈을 소비하며 살아간다
슈퍼맨에게 망토란?│‘차이’를 실현할 만한 방법│백화점, 확장된 도시
나만 불행한 것 같은 밤
Part 4. 절망할 수 있을 만큼 절망해볼 것
16 흐름에 떠밀려 가고 싶지 않다
영원, 지향해야 할 가치│‘무’를 마주한 애매한 기분│키르케고르가 말한 ‘실존’의 요점
17 세상을 도구로 이용하며 사는 법
인생의 접속사 ‘그랬기 때문에’│스스로의 ‘쓸모’를 창조하는 것
18 하늘이 무너져야 솟아날 구멍을 찾지
절반의 행복과 절반의 불행│궁즉통, 닥치면 다 하게 되어 있다│하이데거의 ‘존재 망각’
19 절망도 해본 놈이 하는 거다
절망 그대로의 절망│노력하는 한 방황하리라│긍정의 철학, “잘 안 될 것이다”│스스로가 절망이 되어보자
20 내가 정말 좋아하는 게 뭔지 모를 때
나 자신이 느끼는 모든 게 진리다│내게서 반복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미래, 그 또한 현재다
이것저것 따지기 피곤한 밤
Part 5. 내일은 너무 이성적으로 살지 말자
21 우리가 착각하며 살고 있는 것들
확신과 확실의 경계│완벽의 오류│합리론에 맞선 ‘경험론’
22 같은 사건도 저마다 다르게 말하는 사람들
관념론, ‘바라보는 마음’│대체 누구 기준에서 ‘보편’인데?│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최소한의 감각과 경험
23 친구도 애인도 아닌 이성과 감정 사이
말로써 모든 것이 창조되었다│너무 이성적이면 피곤해지는 인생│라인강의 기적
24 철학을 어렵게 만든 사람들
왜 그렇게 어렵게 말해?│푸코의 질문│일상의 언어를 모르는 지식인들
에필로그 이제야 생각한다. 비로소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