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 바로 알기 `100문100답`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바이러스 위협이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시점에 openAI 챗GPT를 만나는 순간 “인류의 보건안보를 책임질 진짜 비밀무기가 나타났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최신 비밀무기인 챗GPT를 사용하여 국민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맞춤형 감염병(바이러스) 교육자료를 만들어 바이러스 계몽운동을 한다면 국가 차원의 보건안보를 지키는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에이즈 바로 알기 프로젝트, 시작의 중요성
에이즈 문맹 탈출을 위해 나의 30년간의 에이즈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챗GPT(뤼튼 AI와 openAI GPT-4)를 사용해 《에이즈 바로 알기 100문 100답》이라는 책을 만들기 시작했다. 에이즈와의 싸움은 단순히 의학적인 도전이 아니라, 사회적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는 에이즈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프롤로그 중"
"30년 동안 바이러스 전문가로 HIV 바이러스, 간염바이러스, 코로나19 바이러스 등 다양한 바이러스 연구를 수행하여 국내외 학술지에 논문 게재 80편, 특허등록·출원 26건 등 왕성한 연구성과물을 창출했다. 수십 년 동안 에이즈 완치의 최대 걸림돌인 HIV 저장소 제거연구에 매진하였고,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3년과 2014년 세계인명사전인 Who’s Who에 이름을 등재했다. 2022년과 2023년 대한에이즈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2018년 한국의 대표 3대 트레킹(제주올레길, 해파랑길, 지리산 둘레길) 완보로 인생의 희열을 맛본 다음 등산·트레킹전문 여행작가로 변신해 ‘코리아둘레길 4,500km 완보’라는 울트라 버킷리스트에 도전 중이다. 저서로는 ‘형제가 함께 간 한국의 3대 트레킹’ 『제주올레 한 달 완주기 편』, 『해파랑길 편』, 『지리산 둘레길 편』과 『형제가 함께 간 한국의 100명산 산행기(상, 중, 하)』를 출간했다."
"프롤로그
추천사
Chapter 01 에이즈 일반상식
1. HIV와 에이즈(AIDS) 차이는 무엇인가요?
2. HIV에 감염된 사람을 에이즈 환자라고 부르나요?
3. HIV 감염인과 함께 생활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4. HIV 감염인과 함께 식사해도 괜찮나요?
5. HIV 감염인과 손을 잡거나 같이 운동을 해도 안전한가요?
6. HIV 감염인과 키스를 해도 괜찮나요?
7. HIV는 모기에 의해서도 감염되나요?
8. HIV 감염인의 혈액이나 체액이 피부에 닿아도 안전한가요?
9. HIV 감염인의 혈액이나 체액이 인체 밖으로 나올 경우 그 안에 있는 HIV 바이러스는 어떻게 되나요?
10. HIV에 감염되면 바로 죽나요?
11. HIV 감염 후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병원에 가야 하나요?
12. HIV 감염인이 다른 질병으로 병원 진료를 받을 경우 자신의 감염 사실을 의사에게 꼭 알려야 하나요?
13. HIV 감염인이 상대방에게 감염 사실을 알리지 않고 콘돔을 사용하여 성관계를 했을 경우 처벌을 받나요?
14. HIV에 감염되면 사회에서 격리조치 되나요?
15. HIV에 감염되면 직업을 가질 수 없나요?
16. HIV 감염인은 외국 여행을 갈 수 없나요?
17. HIV 감염인은 직장에서 해고되거나 불이익을 받나요?
18. HIV 감염인과 에이즈 환자를 어떻게 돌봐야 하나요?
19. HIV 감염인의 법률상 권리와 의무는 무엇인가요?
20. HIV 감염인의 병역의무는 어떻게 되나요?
21. 에이즈로 사망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22. 성병은 에이즈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23. 성병이 국가보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Chapter 02 에이즈 역학
24. 세계적으로 HIV 감염인 규모는 얼마나 되나요?
25. 국내에서는 어떤 연령대나 성별에서 HIV 감염률이 높나요?
26. HIV 감염 고위험군이란 무엇인가요?
27. HIV는 어떻게 감염되나요? 주요 감염경로는 어떻게 되나요?
28. HIV 감염위험이 높은 성행위는 무엇인가요?
29. HIV 감염인과 한 번이라도 성관계를 가지면 HIV에 감염되나요?
30. 감염경로에 따른 HIV 감염확률은 어떻게 되나요?
31. HIV 감염인 부모로부터 출산된 아기는 모두 HIV에 감염되나요?
32. HIV 양성판정 후 에이즈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도 타인에게 전파 가능한가요? 33. 수혈 시 HIV 감염 위험성은 어떻게 되나요?
34. HIV에 감염되면 바로 증상이 나타나나요?
35. 몸에 붉은 반점이 생기면 무조건 에이즈인가요?
36. 한국인 HIV/AIDS 코호트 연구란 무엇인가요?
37. 국내 HIV/AIDS 코호트 연구 성과로는 무엇이 있나요?
Chapter 03 에이즈 진단
38. HIV 감염을 의심할 때 어떤 증상을 주의해야 하나요?
39. 에이즈 검사란 무엇인가요?
40. HIV 항체 미형성기란 무엇인가요?
41. HIV 감염진단이 무엇인가요?
42. HIV 선별검사와 확진검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43. HIV 검사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44. 효소면역검사(ELISA), 신속진단검사(Rapid test),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이란 무엇인가요?
45. HIV 항원검사란 무엇인가요?
46. HIV 항원·항체 동시검사란 무엇인가요?
47. HIV 핵산증폭검사(NAT)란 무엇인가요? 정량검사와 정성검사란?
48. HIV 감염인과 성관계 후 바로 검사하면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나요?
49. 헌혈 혈액에 대하여 HIV 검사는 이루어지나요?
50. HIV 검사(에이즈 검사)는 반드시 실명으로 해야 하나요?
51. 보건소 검사는 병원 검사보다 부정확한가요?
52. 검사결과가 양성이면 무조건 외관상 표시가 나나요?
Chapter 04 HIV 항바이러스제와 백신
53. HIV 항바이러스제란 무엇인가요?
54. HIV 항바이러스제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55. 역전사효소억제제(NRTIs, NNRTIs)란 무엇인가요?
56. 단백질분해효소억제제(PIs)란 무엇인가요?
57. 통합효소억제제(INSTIs)란 무엇인가요?
58.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치료제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HIV 항바이러스제 개발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59. 새로운 차원의 HIV 치료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60. HIV 변이란 무엇인가요?
61. HIV 계통분석이란 무엇인가요?
62. 에이즈 백신이란 무엇인가요?
63. 현재까지 시도된 에이즈 백신 개발 현황은 어떻게 되나요?
64. 에이즈 백신 개발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나요?
65. 에이즈 백신 개발의 성공을 위해 어떤 기술적 발전이 필요한가요?
66. 치료제 및 백신 개발과정단계 중 임상시험이란 무엇인가요?
Chapter 05 에이즈 환자 치료
67. 에이즈 주요증상은 무엇인가요?
68. HIV 감염인과 에이즈 환자가 일상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69. HIV 감염인과 에이즈 환자 치료는 환자별로 어떻게 진행되나요?
70. HIV 감염인과 에이즈 환자는 치료를 받는 동안 어떤 식단을 유지해야 하나요?
71. HIV 감염인이 치과 치료 시 의사에게 감염 사실을 알려야 되나요?
72. HAART 치료란 무엇이며 효과는 어떤가요?
73. HIV 치료 가이드 변천사에서 중요한 사건들은 무엇인가요?
74. HIV 노출 전 예방요법(PrEP)이란 무엇인가요?
75. 노출 전 예방요법(PrEP) 복용 도중 받아야 하는 검사는 무엇인가요?
76. 노출 전 예방요법(PrEP) 대상자에게 HIV 예방을 위해 특별히 교육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77. 노출 후 예방적 치료(PEP)란 무엇인가요?
Chapter 06 에이즈 완치
78. 에이즈 완치란 무엇인가요?
79. 세계적으로 에이즈 완치사례가 보고된 것이 있나요?
80. 에이즈 완치에 가장 큰 장애물은 무엇인가요?
81. 에이즈 완치연구에 초기 HIV 감염인의 혈액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82. 에이즈 완치연구를 위해서 어떤 기술들이 필요한가요?
83. 오믹스 분석이란 무엇인가요?
84. 단세포전사체 분석이란 무엇인가요?
85. 유전자가위기술이란 무엇인가요?
86. HIV 재활성화란 무엇인가요?
87. 약물재창출 기술이란 무엇인가요?
88. 유도만능줄기세포기술이란 무엇인가요?
89. 나노기술기반 약물전달시스템이란 무엇인가요?
90. 인간화마우스모델 개발이란 무엇인가요?
91. 에이즈 극복은 언제 가능하며 현재 중요한 장애물들은 무엇인가요?
Chapter 07 에이즈 예방과 홍보
92. 에이즈는 어떻게 예방할 수 있나요?
93. 에이즈 예방 교육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나요?
94. HIV 예방을 위해 개인이 노력해야 하는 사항은 무엇인가요?
95. 성접촉 시 예방 수단으로 콘돔 사용이 효과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96. 에이즈 환자에 대한 편견과 대처방법은 무엇인가요?
97. 동성애자 집단에 대한 에이즈 검사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요?
98. 성 소수자를 위한 퀴어문화축제란 무엇인가요?
99. 국내 에이즈 민간단체에는 어떤 기관들이 있나요?
100. 에이즈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